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

촉각 예민한 아이, 꼭 참고 넘어가야 하나요? 유치원 전의 아이들과 함께 문화센터를 가면 주로 탐색활동을 많이 합니다. 특히 다양한 촉감을 만져보고 느껴보고 탐색하는 활동들이 주를 이룹니다. 저희 첫째는 코로나로 인해 이 시기에 문화센터를 많이 못 다녔고, 둘째는 이러한 감각놀이를 너무 좋아해서 정기적으로 다니기도 하고 일일활동도 많이 참여해 보았습니다. 이런 수업 때마다 다양한 아이들이 있습니다. 만 지를 너무 싫어해서 울고 있거나 처음에는 두려워서 바라만 보다가 끝나갈 때쯤에는 신나게 탐색하는 아이들 저희 아이처럼 처음부터 풍덩 빠져들어 신나게 탐색하는 아이들. 그 뒤에는 또 다양한 부모님들이 계십니다. 아이가 천천히 다가갈 수 있도록 기다리고 조금씩 접해주는 분들, 하지 않는다고 운다고 표정이 지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분들, 조금이라도 경험하게.. 2025. 6. 20.
전정 감각과 아이의 몸 균형: 흔들 의자 하나의 힘 ― 흔들의자 하나가 아이의 감각통합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어느 오후, 햇살이 거실 바닥을 따스하게 적시는 시간. 아이는 흔들의자에 올라가 느릿느릿 몸을 앞뒤로 흔듭니다. 말없이 반복되는 그 움직임. 어른 눈엔 그저 심심풀이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짧은 동작 하나하나가 아이의 몸에선 작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중입니다.흔들의자는 전정감각을 자극합니다.전정감각이란 귀 안에 위치한 전정기관을 통해 움직임과 방향, 속도, 중력을 감지하는 감각입니다. 이 감각이 우리 몸의 중심을 바로잡고, 공간에서 균형을 유지하게 해줍니다. 아이가 흔들의자 위에서 앞뒤로 흔들릴 때, 뇌는 계속해서 “지금 몸이 앞으로 간다”, “이제 뒤로 간다”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분석합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균형감각을 기르는 것을 넘어, .. 2025. 6. 19.
시각, 청각, 촉각만 있는 게 아니다: 일곱 가지 감각 이야기 '감각통합'이라는 말에서 '감각'에 대해서 많은 부모님들이 흔히 떠올리는 건 시각, 청각, 촉각입니다.그래서 “우리 아이 감각이 예민한 것 같아요. 혹시 시각이나 청각 때문일까요?” 라는 질문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그러나 우리는 이 세 가지 감각 외에도 네 가지 이상의 감각체계를 활용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전정감각과 고유수용감각은 일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감각이 무엇이고, 일상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질문-답변 형식으로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Q. 시각은 단순히 보는 감각 아닌가요?A. 시각은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거리감, 움직임, 색채, 형태 등을 인지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공을 던졌을.. 2025. 6. 18.
감각처리장애(SPD)의 징후들: '우리 아이, 혹시?' “우리 아이는 소리에 너무 민감해요. 손 씻는 것도 싫어하고, 옷 태그 때문에 매일 아침 전쟁이에요.”“저희 아이는 아프거나 추워도 잘 못 느껴요. 넘어져도 울지 않고, 위험한 상황에서도 반응이 없을 때가 많아요.”"도대체 우리 아이 왜이러나요?" ‘감각처리장애(Sensory Processing Disorder, 이하 SPD)’를 알지 못하는 부모님들이라면 아이의 이런 문제에 대해서 의문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SPD는 뇌가 감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태로, 그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SPD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감각에 과민한 아이 – “세상이 너무 시끄러워요”6세 혜진이는 소풍날마다 울음을 터뜨.. 2025. 6. 17.
감각통합이란? 개념 알아보기 감각통합이 매우 생소한 부모님들도 있겠지만 발달에 대해서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으신 분들은 어디서든 한번쯤 접해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감각통합은 뗄수 없는 한 과정입니다.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작은 하나의 것이 감각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순간이고 이 순간들이 거쳐서 아이들은 발달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아이들을 보면 감각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아이들이 보입니다.단편적으로 특정 질감을 탐색하는 것을 너무 싫어하거나 특정 활동을 너무 하려고 하거나 등 말입니다.그래서 이번에는 '감각통합' 이라는 주제로 여러가지 글을 준비해봤습니다. 오늘은 첫번째 시간으로 감각통합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감각통합의 정의와 기능감각통합은 인간 발달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신경생리.. 2025. 6. 16.
어린이집 교사를 위한 놀이법 가이드 놀이, 교사의 손끝에서 시작되는 변화요즘은 맞벌이 시대로 아이가 조금만 크면 어린이집 생활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아이들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은 ‘선생님’일 것입니다. 아이들은 놀이 속에서 배우고 성장합니다. 그리고 그 놀이를 이끄는 대표적인 사람이 ‘선생님’일 것입니다.선생님이 놀이를 어떻게 설계하고 접근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하루, 나아가 발달 전반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이번 주제는 교구 활용법, 발달 지원 놀이, 창의 놀이 개발이라는 세 가지 핵심 주제를 바탕으로, 선생님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놀이법을 적어보겠습니다.1. 교구,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도구어린이집에는 이미 수많은 교구가 비치되어 있지만, 문제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입니다. 같은 블록도 어떤 맥락에서,.. 2025.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