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5 불안과 감각 과민의 연결고리: 몸이 먼저 느끼는 불편함 “세상이 너무 시끄럽다”, “옷이 따가워서 집중이 안 된다”, “사람 많은 곳은 숨이 막힌다”며 세상을 살아가는데 불안감을 표현하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우리는 단순히 심리적인 긴장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중에는 심리적인 문제가 아닌, 감각 과민성(sensory over-responsivity)이라는 신경학적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어느 경우에 이렇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럴때는 어떻게 반응해야 한는지를 알아보고자 불안과 감각 과민 사이의 연결고리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연결고리의 이해를 통해 감각통합적 접근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감각은 뇌가 처리하는 정보다우리 뇌는 하루에도 수천 가지 감각 정보를 처리합니다. 시각, 청각, 촉각은 물론, 전정감각(균.. 2025. 6. 26. 감각통합과 자폐 스펙트럼: 꼭 함께 고려해야 할 이유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요즘은 사회에서 많이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자폐는 스펙트럼이라는 단어가 붙어서 단순히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매우 큰범위의 증상들을 포함한 복합적인 신경발달장애입니다. 그중에서도 ‘감각처리의 어려움’은 이 아이들에게 빈번히 보여지는 어려움 입니다. 따라서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발달 지원에 있어 감각통합은 꼭 필요한 치료 영역입니다.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감각처리 특성감각처리(sensory processing)란, 우리가 주변 환경에서 들어오는 감각 자극을 인식하고, 해석하며, 적절하게 반응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이 감각 정보를 다루는 방식에 .. 2025. 6. 25. 모래놀이가 중요한 이유: 감각통합의 첫 단추 여러분의 아이는 모래놀이를 좋아하나요? 캠핑을 가거나 심지어 카페에서도 모래놀이를 할 수 있게 해놓은 장소들이 요즘에 많습니다. 아이들도 모래를 보면 일단 거기에 앉고 끄적일것을 가지고 와서 놀이를 시작하곤 합니다. 저희 첫쨰는 물까지 받아와서 여러가지 길을 만든다고 건축가처럼 온힘을 다 쏟고 놀아 옷이 모래밭이었던 기억도 있습니다. 이런 모래놀이는 아이의 발달을 위한 놀이중 깊이 있는 효과를 가진 활동입니다.특히 감각통합에 있어서 모래놀이는 그야말로 ‘첫 단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모래놀이가 감각통합에 효과적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놀이를 진행하면 좋을까요?감각통합의 핵심, 모래를 만지는 경험감각통합은 아이가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고 이를 뇌에서 적절히 조절하고 조직하는 과정입니.. 2025. 6. 24. 모래놀이가 중요한 이유: 감각통합의 첫 단추 여러분의 아이는 모래놀이를 좋아하나요? 캠핑을 가거나 심지어 카페에서도 모래놀이를 할 수 있게 해놓은 장소들이 요즘에 많습니다. 아이들도 모래를 보면 일단 거기에 앉고 끄적일것을 가지고 와서 놀이를 시작하곤 합니다. 저희 첫쨰는 물까지 받아와서 여러가지 길을 만든다고 건축가처럼 온힘을 다 쏟고 놀아 옷이 모래밭이었던 기억도 있습니다. 이런 모래놀이는 아이의 발달을 위한 놀이중 깊이 있는 효과를 가진 활동입니다.특히 감각통합에 있어서 모래놀이는 그야말로 ‘첫 단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모래놀이가 감각통합에 효과적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놀이를 진행하면 좋을까요?감각통합의 핵심, 모래를 만지는 경험감각통합은 아이가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고 이를 뇌에서 적절히 조절하고 조직하는 과정입니.. 2025. 6. 24. 식사 시간이 전쟁이라면: 미각과 후각의 통합 문제 “밥 먹자”는 말을 아이가 제일 싫어하고 특정한 음식은 시도조차 안하려고 하기도 하고 특정한 음식만을 먹으려 하는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는 단순한 '편식'일까요? 이러한 행동이 너무 뚜렷하게 나타난다면 우리는 그 이상의 원인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그것은 단순한 기호의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은 편식의 근본 원인을 감각통합, 특히 미각과 후각의 통합 문제에서 찾고 있습니다.감각통합은 여러 감각 자극을 뇌가 정리하고 조직하여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만드는 뇌의 기능입니다. 우리는 음식을 먹을 때 단순히 ‘맛’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냄새를 맡고, 색과 모양을 보고, 질감을 느끼며, 그것을 씹고 삼키는 일련의 감각 경험을 동시에 처리합니다. 그런데 이 중 하나라도 과민하거나 둔감하면.. 2025. 6. 23. 감각통합과 수면: 왜 자꾸 깨는 걸까? 둘째를 키우면서 인스타에서 가장 많이 보았던 것 중 하나는 수면에 관한 이야기 였습니다.아이가 어릴 수록 잠을 자기 어려워 하고 안아 재우면 안되고 심지어 이에 대해서 코칭을 받는 부모들도 있었습니다.하지만 아이가 클수록 스스로 잠드는 것을 배우고 밤에는 깨지 않고 길게 자는 것을 알아갑니다.그런데 깊은 잠을 자던 아이가 이유 없이 깨어 웁니다. 자는 도중 몸을 뒤척이며 이불을 차고, 잠든 지 1시간 만에 다시 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제 막 길게 자는 것에 대해서 안도했던 부모들은 "왜 이렇게 자주 깨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이러한 수면문제를 저는 감각에서 시작됩니다!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1. 왜 자꾸 깨는 걸까?뇌는 잠들어 있는 동안에도 자극을 감지합니다. 우리는 깨어 있을 때뿐만 아니라, 잠.. 2025. 6. 21.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