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놀이&감각통합26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 발달 지연 예방하기 이전 글들에서 아이들의 발달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관찰’과 적절한 ‘자극’에 대해서 이전에 다뤄 보았습니다. 이런 ‘관찰’과 ‘자극’은 모두 일상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막상 일상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이야기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일상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소소한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발달지연을 예방하는 따뜻한 하루 습관아이는 매일의 반복 속에서 자라납니다. 우리가 평범하다고 느끼는 일상이, 아이에게는 뇌와 몸, 마음이 성장하는 가장 중요한 시간입니다. 그래서 발달지연을 예방하려면 장난감보다 먼저, 일상부터 돌보는 것이 출발점입니다.1. 아이에게 말 많이 걸기일상에서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세요. 너무 간단한 말인가요? 하지만 지금 하는 .. 2025. 5. 29.
자극, 어떻게 줄까? | 발달지연을 예방하는 자극 주기 자극, 어떻게 줄까? 🧠👶지난 시간에는 아이의 놀이를 ‘관찰’을 통해서 아이가 자라나고 있는 것을 알아가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시간에는 ‘관찰’을 넘어,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자극 주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아이는 세상을 온몸으로 경험하며 자라납니다.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지고, 냄새 맡고, 맛보고....이 모든 오감 자극이 뇌와 몸, 감정을 연결하며 발달의 연료가 됩니다. 그렇다면 , 발달지연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가 줄 수 있는 자극은 어떤 방식이 있을까요?아이의 성장 순간에 부모가 어떻게 자극을 주고 함께할 수 있을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1️⃣ 발달 단계에 맞는 자극 주기자극은 ‘많이’ 주는 것보다 ‘맞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즉, 아이의 현재 발달 성.. 2025. 5. 29.
발달지연을 예방하는 ‘관찰’의 기술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꼭 알아야 할 것이 관찰의 중요성 입니다.요즘 아이의 발달이 또래에 비해 느리다는 이야기를 듣고 걱정하는 부모님들이 많아졌습니다.영유아 건강검진, 어린이집 상담 등을 통해 ‘발달지연’이라는 말을 처음 듣게 되면 대부분의 부모님은 당황하고, 인터넷을 헤매며 정보를 찾기 시작합니다.그런 순간이 오기 전에 아이와 함께하는 일상 속 ‘관찰’을 통해 미리 아이의 발달을 이해하고, 필요하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아이의 발달지연을 예방하기 위해 부모가 꼭 익혀야 할 ‘관찰의 기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관찰이란 단순히 바라보는 것이 아닙니다하루 종일 놀이에 빠져 있는 아이의 모습을 바라볼 때, 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아이를 보고 있을까요?혹시 다칠까 걱정하거나, 사고.. 2025. 5. 29.
영유아기 발달 단계별 신체, 인지, 언어 놀이팁~ 🧸 우리 아이의 성장에 날개를 달아주는 놀이법"우리 아이, 잘 자라고 있는 걸까?"많은 부모님이 매일같이 품는 따뜻한 고민이죠.특히 영유아기는 아이가 세상을 배우고,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중요한 시기!이 시기에는 놀이는 곧 발달이에요.오늘은 우리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딱 맞는 신체·인지·언어 놀이법을 소개해 드릴게요.엄마 아빠와 함께 웃으며 성장할 수 있도록, 제가 우리 두 아이와도 많이 해봤던 놀이들 중 실용적이고 공감 가는 팁만 쏙쏙 뽑아봤어요. 😊👶 0~12개월 (영아기)🧠 인지 놀이 | "까꿍!"의 힘까꿍놀이로 대상 영속성 발달 - 단순한 이 놀이는 아이들과 많이 하는 놀이 중 하나입니다. 이 단순한 놀이가 아이에게 매우 큰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가림막으로 아이들과 .. 2025. 5. 28.
미디어 vs. 창의놀이, 아이의 두뇌와 집중력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영유아기의 아이들은 매일 조금씩 자라고 있습니다. 어휘가 늘어나고, 표정이 풍부해지며,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도 다양해집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는 혼자 놀이를 시작합니다. 이처럼 ‘놀이’는 아이의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되며, 정서적,신체적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그런데 아이가 심심해하는 모습을 보면 지루해 하는 순간이 미안해져서 저조차도 먼저 '미디어'를 생각하게 됩니다. 빠르게 흥미를 끌고 조용히 만들어주는 미디어는 바쁜 일상 속에서 간편한 해결책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디어로 인한 사회적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다시금 ‘창의놀이’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습니다.“미디어를 조금 보여줘도 괜찮을까?”“언제, 얼마나 보여줘야 할까?”“미디어가 창의력을 떨어뜨린다면, 창의놀이는 어떻게 해야.. 2025. 5. 27.
영유아기, 놀이는 발달이다: 집 놀이 vs 외부 센터 놀이 비교 예로부터 "놀면서 큰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이 주는 의미는 영유아기의 아이에게 있어 ‘놀이’가 어떤 것인지를 알려줍니다. 아이들에게 ‘놀이’란 세상을 알아가고 배워가는 단계이며, 인지와 감정, 대근육,소근육이 함께 자라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부모 입장에서는 ‘어떻게 놀게 해줘야 하지?’라는 고민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외부에 많은 자원들(키즈카페, 놀이센터, 문화센터) 등이 있어 가정에서 아이들과 마주하여 노는 것이 어려운 부모들은 외부의 자원들을 이용하는 모습을 많이 보입니다. 그러나 외부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가정에서 놀이를 하는 것은 아이에게 각각 다른 자극입니다. 어느 것이 더 좋다 어느것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둘 다 아이가 경험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좋은.. 202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