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책

서울에서 시행하는 아침형 돌봄 알고 계신가요?

by 개굴09 2025. 7. 2.

서울에서 시행하는 아침돌봄 서비스 안내

맞벌이 부모들은 아침에 출근준비와 함께 아이들의 등원준비도 합니다. 챙길것은 한두가지가 아니고 아이는 느긋하게 준비하는 모습에 회사에 늦을까 초조해지기도 합니다. 부모들의 출근 시간에 맞춰서 학교에 가면 교실에 멀뚱멀뚱 있어야 하는지 걱정이 됩니다.. 그런 가정들이 늘어나면서 아침시간 돌봄 공백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아침돌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서울에서 시행 중인 주요 아침돌봄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입니다.

1.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 운영 시간: 오전 7시 ~ 9시
  • 대상: 초등학생 (맞벌이·한부모 가정 우선)
  • 이용료: 무료
  • 내용: 간단한 아침 간식 제공, 숙제 지도, 안전한 등교 지원
  • 운영 범위: 서울 전 자치구 (2025년 3월부터 확대 시행)
  • 이용자 만족도: 평균 3.9점(4점 만점 기준), 누적 이용 7100명 이상

2. 서울교육청 ‘늘봄학교’ 아침돌봄

  • 운영 시간: 오전 7시 ~ 9시
  • 대상: 초등학생
  • 특징: 정규 교육 외에도 아침·저녁·틈새 시간까지 확장된 돌봄
  • 내용: 기본 돌봄 외에 코딩, 인공지능 등 교육 콘텐츠 제공
  • 참여 수: 2023년 기준 8,065명 전원 참여

3. 다함께돌봄센터 아침 연장 시범사업

  • 운영 시간: 오전 7시 ~ 9시
  • 대상: 초등학생
  • 운영 방식: 시범사업 형태로 30개소 운영 중, 전국 450곳 확대 예정

4. 지역기반 아침돌봄(예: 노원구 아이휴센터)

  • 대상: 해당 자치구 거주 초등학생
  • 운영: 아침돌봄 및 토요반 등 연계 프로그램 운영
  • 접근성: 아파트 단지, 학교 인근 등 위치

이용 요약

서비스 대상 시간 주요 내용
서울형 키움센터 초등학생 7:00~9:00 무료 돌봄, 간식, 등교 지원
늘봄학교 초등학생 7:00~9:00 교육 콘텐츠 포함 돌봄
다함께돌봄센터 초등학생 7:00~9:00 시범 운영 중, 전국 확대 예정
지역 센터 해당 자치구 초등학생 7:00대 포함 지역 맞춤형 돌봄

이용 방법

  • 우리동네키움센터: 해당 센터 또는 구청 복지과 문의

  • 늘봄학교: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 또는 교육청 통해 신청
  • 다함께돌봄센터: 복지로 누리집 또는 전화로 신청 안내
  • 지역센터(예: 아이휴센터): 해당 구청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문의

마무리하며

서울시의 아침돌봄 서비스는 부모의 출근 부담을 줄이고 아이들의 안정된 등교를 돕는 실질적인 지원책입니다. 아침 시간 돌봄이 필요한 가정이라면, 거주 지역의 키움센터나 학교를 통해 꼭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 내년에 학부모를 앞두고 있는 저로서는 이런 정책들이 좀 더 확대되어 손쉽게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울 수 있는 나라를 기대해 봅니다. 

'육아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의 육아 공약 분석  (4) 2025.06.08